본문 바로가기

★재미있는 모터세상♬/AC, BLDC

[AC모터] 콘덴서는 용량만 맞으면 똑같이 사용할 수 있나요?

터 홈페이지

 

 콘덴서는 용량만 맞으면 똑같이 사용할 수 있나요?


학생      선생님! 방금 고객에게서 콘덴서 문의를 받았는데요. “단상 AC 모터를 사용 중에,

            콘덴서를 분실해서 가지고 있는 제품 중에서 쓰고 싶다.”고 하더라구요.


선생님   간단한 질문이네요! 대체할 콘덴서 용량은 분실한 제품과 동일하나요??


학생      네! 콘덴서의 용량은 확인했습니다. 모터 명판에 나와있는 용량과도 같대요!


선생님   맞아요. 그 외에 콘덴서에 대해서 확인해야 할 포인트를 알고 있나요?


학생      다른 포인트요!? 카탈로그 상에 기재되어있는 콘덴서 용량(μF)만 맞으면 다 사용할

             수 있는  아닌가요?


선생님   모르고 있군요!? 확실히 콘덴서의 용량이 중요하긴 하죠. 콘덴서의 용량이 클 경우

             토크는 높아지지만 발열이 심해지고 반대로 콘덴서 용량이 낮은 경우 토크는

             감소되고 온도도 내려가니깐요. 하지만 이외에 정격 전압도 맞춰야 해요.

             콘덴서의 정격 전압을 초과하여 사용한다면 콘덴서의 발열. 발화에 의한 소손이

             발생할 수 있어요.


학생      아… 정격 전압이요?? 그럼 모터의 인가 전압과 동일한 전압 레벨인가요?


선생님   아니에요! 결론적으로는 콘덴서의 정격전압은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단상 MOTOR

             )의 1.5~2배가 되는 전압 사양을 사용해야 해요. 이유는 모터에 인가되는

             단상 전원에서 위상차를 만들어 모터를 회전시키는 역할이 콘덴서 인데,

             이때 위상차 전압에 의해 콘덴서 단자 사이에 전원 전압의 1.5~2배가

             인가되기 때문이에요.


학생      아… 전원까지는 미처 생각을 하지 못했었네요.. 얼른 고객님께 다시 전화를

             해봐야겠어요!


선생님   네 전원 사양을 얼른 확인해봐요~ 부속되어있는 콘덴서는 모터 사양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선정되어있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지만 지금처럼 다른 콘덴서를

             사용할 때는 용량과 전압사양을 반드시 확인해야 해요! 하지만 카탈로그에

             부속품인 콘덴서 품명이 표기되어있으니, 재구매도 가능하다는 것도 알려주세요!


학생      아 넵! 알겠습니다.


선생님   아 그리고 콘덴서 관련내용인데 혹시 [모터에 전원 배선을 완료 하였는데도

             모터가 돌지 않고, 손으로 샤프트를 회전시켜야 회전을 실시한다.]라는 현상에 해답을

             찾을 수 있나요?

학생      네? 그럴… 수도있나요?


선생님   물론이죠! 고객님께 직접 문의 받은 내용인걸요. 이럴 경우는 콘덴서의 접촉

             불량이나, 단선이 없는지를 확인해야 해요!. 방법으로는 콘덴서 배선의 육안

             단선 확인, 콘덴서 양단의 전압측정이 있어요. 이때 1.5배 이상의 전원이

             측정되어야 하구요!


학생      아… 그리고 콘덴서 용량이 부족해도 그럴 수 있겠죠!?


선생님   맞아요! 그건 확실히 아는군요!? 그럼 한가지 더! [모터를 단방향으로 구동하는데

             콘덴서가 반드시 필요한가요?]라고 문의하면 뭐라고 알려드려야 좋을까요?


학생      기동시의 토크로 회전방향을 정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부품이기 때문에 꼭 사용해야

             한다고 전달해야 해요!


선생님   맞아요! 작은 부품으로 취급할 수도 있는데 AC 단상 전원 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부품이에요!


학생      넵! 저도 고객님들에게 없어선 안될 존재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래 그림을 클릭하시면 인아오리엔탈모터 홈페이지로 가실 수 있습니다.

 

 

모터 홈페이지 : https://www.inaom.co.kr/count/tistorycount.do?par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