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미있는 모터세상♬/FAN

[팬모터] FAN의 풍량이 2배가 되면, 냉각효과도 2배가 되나요?

모터 홈페이지

 

 

FAN의 풍량이 2배가 되면, 냉각효과도 2배가 되나요?



학생      선생님. 고객에게서 축류팬(PROPELLER FAN)에 대해서 질문을 받았어요.

            냉각효과가 부족해서 FAN을 1대 더 설치하고 싶은데 특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문의했어요.


선생님   그래서 어떻게 대답했나요?


학생      FAN을 2대를 나란히 세우면 풍량이 2배가 될까?라고 생각했어요.

             풍량이 2배가 되면 냉각효과도 2배로 높아지죠? 그렇죠?


선생님   그래요. 2대 나란히 설치하면 최대풍량은 약 2배가 되요. 하지만 최대풍량이 2배라도

             냉각효과는 단순하게 2배가 되진 않아요. 냉각할 본체 내의 상태에 좌우되기

             때문이에요.


학생      그런가요?


선생님   FAN의 특성을 생각할 때에 중요한 것이 있었죠. [압력손실] 기억하나요?


학생      [바람의 흐름 방해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었죠?


선생님   그래요. 본체 내에 바람을 보내는 경우, 본체 내가 밀집되어 있으면 저항이 커져서

             바람이 흐르기 어렵게 되어버려요. 이 경우, 본체내에 공기를 밀어넣는

             (혹은 끌어당기는) 힘인 정압이 중요해져요. 즉, 충분한 냉각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본체 내의 압력손실을 상회하는 정압을 발휘할 수 있는 FAN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 돼요.


학생      그렇군요. FAN은 풍량 뿐만 아니라 압력손실도 고려해서 선택하지 않으면 안 되는

             거네요.
 

 

 


선생님   그래요. 위 그림은 일반적인 FAN의 특성도인데 예를 들어 필요되는 풍량이 Q1이고

             이 때의 본체 내 압력손실이 P1이죠. 그러면 이 FAN의 경우, 정압값은 P2이므로,

             필요되는 정압값 P1보다 높죠. 즉, 충분한 풍량을 얻을 수 있다는 거죠.​​  

 


             공간이 넓고 압력손실이 작은 경우에는 풍량을 높일 수 있는 그림 1과 같은 방법이

             적합해요.

             본체내가 밀집해 있고 압력손실이 큰 경우에는 정압을 높일 수 있는 그림2

             같은 방법이 적합해요.


학생      그렇군요! 얼른 고객에게 설명해야겠어요! 그리고 MRS시리즈와 같이 풍량도

             정압도 큰 TYPE은 처음부터 큰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으니 이것도

             소개해보겠습니다.



아래 사진을 클릭하면 인아오리엔탈모터 홈페이지로 가실 수 있습니다.


 

 


 모터 홈페이지 : https://www.inaom.co.kr/count/tistorycount.do?para=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