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생저항이란??
상하구동 (감아내림 운전)이나 대관성에서의 급격한 기동·정지시에 모터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발전기로 작용합니다. 이 때 발생하는 회생전력이 드라이버의 회생전력 흡수 능력을 넘어서면 파손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회생저항·회생 UNIT을 드라이버에 접속하여 회생전력을 열에너지로 방출합니다.
OM제품 기준으로 회생저항은 어떤 제품에 사용이 가능할지 알아봅시다 ㅎㅎ
아래 표를 클릭하면 인아오리엔탈모터 홈페이지로 가실 수 있습니다.
모터 홈페이지 : https://www.inaom.co.kr/count/tistorycount.do?para=1
'★재미있는 모터세상♬ > AC, BLDC'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소형모터의 특징-간단하게 운전할 수 있는 모터 (0) | 2017.06.09 |
---|---|
[BLDC모터] BLDC MOTOR가 속도변동율이 좋은 이유 (0) | 2017.05.15 |
[AC/BLDC 모터용어] 감아올림운전, 감아내림운전(회생운전)의 용어 설명 (0) | 2017.04.26 |
[AC속도가변] DSC시리즈의 감속제어란? (0) | 2017.04.10 |
AC 속도가변 모터를 감아내림운전에 사용할 수 없는 이유! (0) | 2017.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