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 새로 구매한 자전거는 바퀴가 큰데도 페달이 가볍고 잘 나가네요!
선생님 : 그럼 바퀴를 얇게 해서 관성모멘트(1)를 줄였겠죠?
학생 : 관성모멘트는 질량에 비례하는 것 아니었나요!?
선생님 : 그렇기도 하죠. 하지만 질량에 무조건 비례하는 것은 아니에요.
학생 : 헐! ..그럼 어떤 것들이 있나요??
선생님 : 회전체 반경의 제곱에 비례하여 커지는 것도 있어요!
학생 : 아! 알 것 같아요. 우산을 접고 돌릴 때와 펼쳐서 돌릴 때, 펼칠 때 더 무거운
느낌이 드는 것! 맞죠??
선생님 : 맞아요! 그럼 그 현상(관성 모멘트)은 MOTOR를 구동할 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학생 : MOTOR의 기동정지나 가감속 토크에 영향을 미칠 것 같아요.
선생님 : 대단한데요? 관성 모멘트가 커지면 그에 비례하여 가감속 토크도 커져요.
그리고 허용 관성모멘트와 관성비(INERTIA)도 계산해야 해요.
학생 : 지난번 AC MOTOR를 사용할 때 감속기 허용 관성모멘트가 장치의 관성
모멘트보다 낮아서 파손된 현상 말씀하시는 거죠!? (ㅠ_ㅠ)
선생님 : 맞아요. 허용 관성모멘트부분에서 그렇게 되죠! 그럼 STEPPING MOTOR는
어떻게 될까요?
학생 : STEPPING MOTOR는 로터 관성모멘트에 대해 부하 관성모멘트와의 비율
[관성비 = 부하 관성모멘트/로터 관성모멘트]로 구할 수 있어요!
이때 관성비가 10배 이하(a-STEP(2)의 경우 30이하)가 되도록 해야하죠!
그런데 꼭.. 맞춰야하나요??
선생님의 답변이 예상되시나요?ㅎㅎ
여러분이 생각한 답과 선생님의 답변을 비교해보세요!
(1) 관성모멘트 : 회전하는 물체가 계속해서 회전을 지속하려고 하는 성질의 크기.
(2) a-STEP : 레졸버 채택하여 당사의 독자적인 CLOSED LOOP제어가 가능한 스테핑모터.
'★재미있는 모터세상♬ > 모터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텝 분해능] 전자기어(電子GEAR) 설정하는 방법 (0) | 2018.08.23 |
---|---|
[모터 유해화학물질] RoHS지령이 무엇인가요? (0) | 2018.04.08 |
[모터 케이블 문의] 일반 접속케이블을 가동부에 사용할 수 있나요? (0) | 2018.02.19 |
[해외 전압 대응] 해외에서 사용가능한 모터는? (0) | 2018.01.17 |
[나사 조임·캡 조임] 조임에 사용할 수 있는 모터 (0) | 2017.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