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가 없는 일상생활을 상상해 보신 적이 있나요?
아마 1시간도 버티기 힘들 지 않을 까..... 싶은데요.
집 안의 가전제품, 공장 속 기계, 길거리의 수많은 가로등 등
이렇듯 전기는 우리 생활 곳곳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전기!
오늘은 전기 용어에 대해 소개해 드리고자 해요.
관련 업계 종사자 분들이
알아 두시면 좋을!
전기 용어
◆ 가변 인덕터 (Adjustable Inductor)
자기 인덕턴스 또는 상호 인덕턴스를 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인덕턴스
◆ 가변 저항기 (Adjustable Resistor, Variable Resistor)
흔히 볼륨이라 불리우며, 한개 또는 복수의 이동 가능한
접촉자를 이동하여 고정시켜서
그 저항값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된 저항기
◆ 가변 콘덴서 (Adjustable Condenser, Variable Condenser)
통상 바리콘이라 불리며,
로터와 스테이터의 대향(對向) 면적을 변화시켜서
정전용량 값을 연속적으로 쉽게 바꿀 수 있는 콘덴서
◆ 계전기 (Relay)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등의 전기신호를 비롯하여
온도, 빛 등 여러 가지 입력신호에 따라서
전기회로를 열거나 닫거나 하는 역할을 하는 기기
◆ 고전력 스위칭용 반도체 (IGBT :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전력용 반도체의 일종으로 전기의 흐름을 막거나 통하게 하는 스위칭 기능은 다른부품이나 회로로도 구현할 수 있지만 정밀한 동작을 필요로 하는 제품일수록 동작속도가 빠르고 전력의 손실이 적은 전용부품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기존의 스위칭 반도체인 트랜지스터는 가격이 저렴한 대신 회로구성이 복잡하고 동작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고, MOSFET 는 저전력이고 속도가 빠른 대신 비싼 단점이 있어 이두 제품의장점만을 결합한 제품이 전력용 반도체 IGBT 임.
◆ 고조파 (Harmonic Wave)
주기파 또는 주기 변화량에 있어서 기본파 주파수의 정배수 주파수를 가진 성분을말함. 예를 들면, 기본파의 3배 주파수를 가진 파를 제3고조파라 함.
◆ 고주파 (High Frequency )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음.
◆ 공기 차단기 (Air-blat Circuit Breaker)
차단시에 10- 30기압의 압축공기를 아크에 뿜어서 소호(消弧)하는 구조의 차단기
◆ 공칭 변압비 (Nominal Transformation Ratio)
변압기의 누설 임피던스가 없는 이상 변압기로 한 경우 1차와 2차의 변압비, 전류비는 권선의 권수비만으로 정해짐. 이 비율을 공칭 변성비라 함.
◆ 공칭 정격 (Nominal rating)
규정의 시험조건하에서 규정온도를 넘는 일 없이
운전할 수 있는 최대 부하.
규정치를 넘어 일정량(보통 25- 50%) 부하를 증가시켜도
2시간까지는 어느 한도를 넘어서온도상승을 발생하지 않는 것이 보통임.
◆ 과부하 (Overload )
기기, 장치가 다룰 수 있는 정상적인 값을 넘은 부하. 과부하가 되면 신호처리회로의신호는 일그러짐이 발생하고, 전력처리회로에서는 구성부품의 과열이 생김. 보통의기기, 장치는 그 정격 부하용량을 넘어도 이상을 발생하는 일이 없이 운전할 수 있는
약간의 과부하 용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음.
◆ 과전류 (Overcurrent)
규정값을 초과하는 이상 전류
◆ 과전압 (Overvoltage)
전기분해에서 수소나 산소를 발생하는데 백금흑 등의 전극을 사용할 때 평형 전위보다 어느 전압만큼 높게 하면 가스가 발생하는 이때의 전압을 과전압이라 함.
◆ 과전압 계전기 (Overvoltage relay )
계전기에 주어지는 전압이 그 설정 값과 같든가 그보다 커지면 동작하는 계전기
◆ 광기전 효과 (Photovoltaic Effect)
광전효과의 일종으로 반도체의 pn접합이나 반도체와 금속의 접합면에 빛이 입사했을때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 광전지로써 실용화되고 있음.
◆ 교류 밸런서 (AC Balancer)
단상 2선식 배선에서 단상 3선식 배선을 얻기 위한 단권 변압기
◆ 권선형 회전자 (Wound Rotor)
회전자의 권선이 농형 권선과는 달리 고정자와 동극, 동상의 분포권선을 하고
그 단말은 슬립링을 통해 외부에 꺼내도록 한 유도 전동기
◆ 권선형 유도전동기 (Wound- rotor Induction Motor)
권선형 회전자를 갖는 유도 전동기. 농형 유도 전동기보다 대용량기에 적합하며, 시동특성(시동 토크, 시동 전류)이 뛰어남.
◆ 권철심 (Wound Core )
자성재료의 얇은 띠를 고리모양으로 감아서 만든 철심
◆ 권철심 변압기 (Wound Core Transformer)
연속리본형으로 압연한 방향성 규소강대를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아서 만든 철심을사용하는 변압기로, 철심을 이은 곳이 없으므로 자기특성이 매우 좋고, 무부하 전류가 적으므로 효율이 높음.
◆ 규소강판 (Silicon Steel Plate)
철(Fe)에 5% 이내의 규소(Si)를 가한 것을 압연한 철판으로 자기적 특성이 좋고 저항율도 높으므로 전력 기기 뿐만 아니라 전원 변압기, 계전기 등의 저주파용 자심으로써 널리 사용됨.
◆ 난조 방지 권선 (Damper Winding)
제동권선이라고도 하며, 동기 발전기에서 난조를 방지하여 고른 회전을 위해 두어진권선의 일종. 제동권선은 그 구조상 전기자의 3상권선에서 보면 일종의 농형 유도전동기의 2차권선으로서 작용하고, 회전자가 동기속도에서 벗어나 고속도로된 경우에는
그 회전속도를 상승시키도록 작용하여 회전속도의 주기적인 변화를 방지함.
◆ 내부 전계 (Internal Field)
유전체에 외부 전계 E를 가했을 때 분자나 원자에 작용하는 전계 E '는 E보다 약간커짐. 이 전계를 내 부전계라 하며, 식은 E ' =E+γP 임. (γ는 내부 전계 계수, P는유전분극의 크기)
◆ 내철형 변압기 (Core type Transformer)
철심을 권선으로 감싼 모양의 변압기. 1차 및 2차 권선을 각각 2분하여 양다리에 감은 모양으로, 누설 자속을 감소시키는 특징이 있음.
◆ 네온 변압기 (Neon Transformer)
네온관 등 회로에 사용하는 자기 누설 변압기. 네온관은 길이 1m당 약 1,000V의 전압을 필요로 하므로 특별한 변압기를 필요함.
◆ 뇌격 (Lightning Stroke)
낙뇌를 말함.
◆ 뇌 서지 (Lightning Surge)
뇌에 의해서 송전선로에 생기는 이상전압. 직격 뇌 서지와 유도 뇌 서지가 있으며, 이상전압은 파고값이 매우 높고 송전선로의 경과지에 따라서는 발생빈도도 높으며 송전선로의 이상전압중 가장 무서운 것임.
◆ 누설 리액턴스 (Leakage Reactance)
누설 자속의 변화에 의해서 권선 중에 주자속보다 90° 위상이 늦는 기전력을 유도하고 그 크기는 누설자속에 비례함. 이 자속은 대부분이 공기중에서 통하므로 전류에비례함. 따라서 누설자속에 의해서 생기는 기전력을 jIx라 할 경우 x를 누설 리액턴
스라 함.
◆ 누설 변압기 (Leakage Transformer)
누설 리액턴스를 매우 크게 한 변압기. 1차측의 전원전압이 일정하고 부하 임피던스가 변동해도 거의 일정한 2차 전류가 흐르도록 한 변압기임. 주로 네온관등, 방전등,아크 용접기, 전자렌지 등에 사용.
◆ 누설 인덕턴스 (Leakage Inductance)
누설자속에 의한 인덕턴스
◆ 누설 자속 (Leakage Flux)
두 권선간에 전자유도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두 자속에 대하여 한쪽 권선하고만 쇄교하여 유효하게 작용하지 않는 자속.
◆ 누설 전류 (Leakage Current)
절연되어 있는 장소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를 말하며, 정상상태에서는 매우 적으나,절연물에 붙은 먼지나 습기 등 때문에 표면을 통해서 흐르는 성분과 절연물 중에 존재하는 불순물이나 이온 등 때문에 내부를 통해서 흐르는 성분임.
◆ 누설 컨덕턴스 (Leakage Conductance)
송전선로에서는 애자 표면의 누설 전류에 대한 것으로 그 값은 작으나, 코로나를 발생한 경우 이 영향을 등가적으로 누설 컨덕턴스로 다루는 경우도 있음.
◆ 누전 차단기 (Earth Leakage Breaker, Ground- fault Circuit)
비충전 금속부의 전압이나 누설전류에 의한 전원의 불평형 전류가 소정의 값을 초과했을 때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 장치
◆ 단권 변압기 (Auto Transformer)
하나의 권선을 1차와 2차로 공용하는 변압기. 공용권선이기 때문에 누설 자속이 적고전압변동율이 작아서 효율도 좋으므로 전압조정용으로서 연속적으로 전압을 조정할수 있는 접동식 전압 조정기 등에 널리 사용됨.
◆ 단상 변압기 (Single-phase Transformer)
배전변압기로 널리 쓰이며, 1~50kVA의 것까지 있으며, 주로 주상변압기로 사용됨.
◆ 단상 유도 전동기 (Single-phase Induction Motor)
고정자에 단상 권선을 하고 회전자는 농형으로 한 구조의 단상 교류로 운전하는 전동기. 비교적 소용량으로 가정용, 농업용 등의 소형기기 구동용 전동기로 사용됨.
◆ 대역 압축 (Band Compression)
신호에 포함되는 불요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여 전송에 필요한 채널 대역폭을 줄이는 것.
◆ 도전율 (Conductivity)
저항율의 역수 기호는 σ(시그마)
◆ 도전 전류 (Conduction Current )
외부 에너지의 기여에 의해 만들어진 전도 전자의 흐름에 의한 물체 내 전하의 연속적인 운동
◆ 도플러 효과 (Doppler Effect)
음원과 듣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접근하고 있을 때 음파는 높게 들리고, 멀어지고 있을 때는 낮게 들림. 이러한 현상을 도플러 효과라 함.
◆ 돌극기 (Salient Pole Machine )
계자극이 계철에서 돌출한 구조의 전기기계. 동기 발전기에는 원통 회전자형의 것과돌극 회전자의 계자극이 있는데, 양자는 구조나 전기적 특성이 크게 다르며 돌극기가돌극성을 가지고 있음.
◆ 돌극 계자 (Salient Pole Field )
성층 철심의 자극 머리 부분에 작은 홈을 두고, 권선을 삽입하여 만들어진 자극으로제동용 계자에 사용함
◆ 동기 발전기 (Synchronous Generator )
원동기의 속도에 동기한 주파수의 발전을 하는 교류 발전기
◆ 동기 임피던스 (Synchronous Impedance)
동기 리액턴스와 실효 저항과의 직렬 임피던스
◆ 동기 전동기 (Synchronous Motor)
교류 전동기의 일종으로 동기 발전기와 같은 구조의 것을 전동기로서 사용할 때 이것을 동기 전동기라 함. 동기 전동기는 여자의 변화에 의해 역률을 조정할 수 있고,부하가 변해도 동기속도로 회전을 계속하고 효율이 좋으므로 대용량 전동기로서 사용됨.
◆ 동기 조상기 (Synchronous Phase Modifier)
송전 선로의 전압을 일정하게 할 목적으로 수전단에 병렬로 접속하여 무부하 운전하는 동기 전동기
◆ 동기 리액턴스 (Synchronous Reactance)
누설 리액턴스와 전기자 반작용 리액턴스가 합성된 리액턴스
◆ 동기 속도 (Synchronous Speed )
회전 자계의 극수와 교류전원의 주파수로 정해지는 회전 자계의 속도. 전동기의 고정자에 교류전압을 가하면 발생하는 회전 자계에 동기하여 회전자가 회전하는 속도임.
◆ 등가 회로 (Equivalent Circuit)
부품의 전기적 특성을 생각하기 위해 그 부품 본래의 목적인 저항값(저항기), 인덕턴스(코일), 정전용량(콘덴서) 외에 다른 것도 직렬 또는 병렬로 조합되어서 존재하는것으로 하여 그린 회로를 말함.
◆ 루멘 (Lumen)
광속의 단위. 기호는 lm
◆ 리니어 (Linear )
선형(線形), 선형성, 연속성을 의미함. 전기기기에서는 입력에 비례하여 출력이 변화할 경우 "리니어하다"라 함
◆ 리액터 (Reactor)
교류회로에서 큰 유도 리액턴스에 의해 무효전력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나,교류와 직류가 겹쳐진 회로에서 교류분에 대해서만 리액턴스를 주는 것을 목적으로한 기기.
◆ 리액터 시동 전동기 (Reactor Start Motor )
분상형의 단상 유도전동기에서 시동을 위해 리액터와 직렬로 접속된 주권선과 보조권선이 있고, 그 밖에는 외부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
◆ 리액턴스(Reactance)
전기회로에서 직류전류를 방해하는 것은 저항뿐이지만 교류전류는 방해 및 양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저항 이외에 전류를 방해하는 저항성분이 있는데 이 저항 성분을 리액턴스라 함
'기타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덴서 체크법 및 주의사항 (0) | 2018.11.27 |
---|---|
이더캣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11.21 |
상태 변화의 가시화 (0) | 2018.11.08 |
[모터의 용량을 직접!] 계산해보는 방법-볼스크류/벨트/테이블 (0) | 2018.05.15 |
난연등급 (0) | 2017.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