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덴서 체크법 및 주의사항
콘덴서(Condenser)는 전기, 전자 분야에 널리 쓰이고 있는데요.
오늘은 콘덴서 체크법과 콘덴서 사용 시 주의점에 대해 살펴볼게요.
콘덴서를 체크하는 방법
콘덴서 양단 전압 측정을 통해 확인한다 1. 정격보다 용량이 큰 콘덴서 사용 시
4. 전원입력 선택
-> 양단 간 전압이 입력 전압의 1.5~2배가 나온다 ->
과부하로 판단
콘덴서 양단 전압 측정을 통해 확인한다->
양단 간 전압이 입력 전압의 1.5~2배 값이 아니다. ->
배선에 단전이나 접촉 불량이 없는 지 확인
콘덴서를 사용시 주의점
토크가 커지나 발열의 원인이 되며 심한 경우 코일의 소손이 발생할 수 있다.
Thermal Protector가 작동하여 MOTOR의 동작이 멈출 수 있다.
2. 정격보다 용량이 작은 콘덴서 사용 시
기동 토크가 떨어짐. 부하가 큰 경우 정격에 맞는 콘덴서 사용해야 함.
3. 주의점
콘덴서 내부 구조는 아래와 같으므로 SHORT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MOTOR LEAD선과의 접속은 1개의 단자에 1가닥의 LEAD 선을 접속해야 한다.
콘덴서 양단 간의 전압이 입력전압의 1.5~2배의 전압이 걸리므로
전원입력이 단상 110V인 경우 콘덴서는 200V용을 사용하고
단상 220V인 경우 콘덴서는 450V용을 사용한다.
'기타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동로봇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12.06 |
---|---|
주요 국가별 전원 전압 (0) | 2018.12.06 |
이더캣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11.21 |
전기 용어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11.21 |
상태 변화의 가시화 (0) | 2018.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