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지식백과에서 가져온 글입니다.
바리스터란?
전압 V의 변화에 대한 전류 I의 변화 비율이 매우 큰 저항체. 특성을 으로 나타나면 n = 4~5로 된다. 주요한 재료는 탄화규소(SiC)의 분말로서 소량의 탄소를 가하고 점토(粘土)와 혼합하여 원판 모양으로 소결(燒結)한 것이다. 릴레이 접점과 병렬로 접속하여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보통의 저항체와 조합하여 전압의 변화를 확대 검출하는 회로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바리스터 [Varistor, バリスタ] (철도용어사전, 한국철도시설공단)
AR시리즈(DC)에 나오는 바리스터의 역할은,
1. 접점의 SERGE 보호
전자브레이크는 내부에 권선이 있으므로 전원절단시에 역기전압이 발생합니다.
이 때, 접점에 높은 서지전압이 일시적으로 걸리게 되어 접점의 수명이 짧아집니다.
바리스터는 이 서지전압을 흡수하여 접점으로의 부담을 경감시킵니다.
2. 노이즈 방지
접점의 서지를 흡수하는 것으로 서지전압으로 인한 노이즈의 발생과 전파를 방지합니다.
아래 그림을 클릭하면 인아오리엔탈모터 홈페이지로 가실 수 있습니다.
'기타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열 CLASS와 절연재료 (0) | 2016.10.11 |
---|---|
인버터, 컨버터란? (0) | 2016.09.29 |
국제보호등급 - IP등급이란? (0) | 2016.08.30 |
ROHS - 제품함유 화학물질 규제에 대한 대응 (0) | 2016.07.11 |
RS-232/422/485 통신 기술자료 (0) | 2016.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