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어를 적층하는 이유는?
코일이 둘둘 감긴 원형통에 자석을 넣다/뺐다 하면 코일양단에 기전력이 생겨서 전류 메터가 끄덕끄덕 하는 이치로서 자석을 넣다/뺐다 하는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기전압이 크게 발생합니다. 고등교육에서는 기전압(E)=di/dt로 표시합니다.즉 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자력선이 발생하고(자석을 코일원통에 넣는효과) 전류를 끊으면(자석을 빼는효과)가 나타나는데 전류가 클수록/단속시간이 빠를수록 큰 기전압이 생깁니다. 즉 전류와 반대 방향의 전위차가 생기는 이유는 일종의 관성의 법칙입니다.
전류가 똑같은 양으로 계속 흐르면 기전압은 생기지 않습니다 그러ㅋ나, 흐르다가 끊어지면 계속 흐르려는(자력선이 유지되려는)관성이 생기므로 기전압 방향이 반대가 됩니다 그래서 역기전력(逆起電力) 혹은 역기전압(逆起電壓)이라고 표현합니다.
따라서 코어에 코일을 감아서 정류자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고 끊기고를 반복하면 코어 내부에서 N,S로 자화되어있던 분자들이 외부 자장에 맞추어 분자 운동을 하기도 하지만 유도가열 원리로 와류라고 하는 전류를 발생시키게 되어 코어가 과열되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차단을 위해서 얇은 코어를 쓰고, 코어가 얇고 많을수록 유리합니다.
그럼 와류란 무엇인가?
코일 안쪽으로 자속을 변화시키면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은 잘 아실겁니다. 과학 실험때 코일 감아서 막대자석으로 실험 많이 했죠.이 와 똑같이 어떤 도체 내에 자속이 변화하면 도체 내부에서는 자속의 방향과 수직하는 평면 내에서 원형의 전류가 생성됩니다. 이 전류가 바로 와류전류 또는 에디커런트라고 합니다.그런데 이 전류는 그 도체에 열을 발생시키고 통과하는 자속의 효율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전기기기에 좋지못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 와류전류도 전선을 흐르는 일반 전류와 똑같은 전류이므로 와류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열을 발생시킵니다.그리고 전류는 저항에 따라서 크기가 다르므로 일반적으로 철심의 재료는 전기저항이 큰 재료를 사용합니다. 또 와류전류의 크기는 철심의 면적에 따라서 그 발생면적이 달라지기 때문에 철심의 두께같은 면적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가능하면 면적이 작으면 와류전류가 발생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전기기기용 코어(철심)재료로는 얇은 철판을 겹겹이 겹친 성층철심을 쓰는 것입니다.겹겹이 쌓아서 와전류손을 줄입니다.
'★재미있는 모터세상♬ > 모터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모터 선정] AC 소형 표준 모터 - 선정순서 (0) | 2016.09.28 |
---|---|
모터 교육/이론 자료 (선생님과 학생의 대화) (0) | 2016.09.19 |
[속도 계산] PULSE속도,회전속도, 벨트속도, 반송속도 변환/계산 사이트 (0) | 2016.07.07 |
[운전패턴 계산] 스테핑모터의 운전패턴 계산, 운전방식 계산 사이트 (0) | 2016.07.01 |
[스테핑모터] 가감속/가속도 단위 환산. [kHz/s]↔ [ms/kHz]↔[m/s^2]↔[s^2/m]↔[G] 계산 사이트 (2) | 2016.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