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모터세상♬/AC, BLDC 썸네일형 리스트형 [위치 유지 모터] AC모터 전자브레이크의 수명 모터홈페이지 AC 전자브레이크 부착모터의 전자브레이크 수명 AC 모터 중 전자브레이크 부착모터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전자브레이크 모터는 모터의 회전을 순간적으로 멈추거나 무여자시에 위치를 유지하는 용도로 사용한답니다. 오리엔탈모터 기준, 허용관성모멘트 부하를 반복제동하는 경우 수명은 약 200만회 입니다. 오리엔탈모터의 전자브레이크 부착 모터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카탈로그를 신청해보세요~ 더보기 [레이트 제너레이터] 타코제너레이터로 속도 확인 모터 홈페이지 타코제너레이터 전압으로 회전속도를 확인할 수 있을까요? 속도가변용 모터의 뒷쪽을 확인해본 적이 있나요? 일정속 모터와는 다른 걸 확인할 수 있는데 사진상의 부분이 바로 타코제너레이터(TACHO GENERATOR)입니다. 레이트 제너레이터(RATE GENERATOR)라고도 하죠 ㅎㅎ 이 부분에서는 모터가 돌때마다 전압이 발생한답니다. 컨트롤러에서는 설정해준 전압과 제너레이터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확인하고 비교하면서 속도제어를 하죠 ㅎㅎ 여기 레이트 제너레이트 선 사이에 교류전압계를 접속하면 회전속도를 산출할 수 있어요. 교류전압계는 내부 임피던스가 200kΩ 이상인 것을 사용하면 된답니다. 아래 그래프를 참고해주세요 위의 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아오리엔탈모터 홈페이지로 가실 수 있습니다. 더보기 [기어드 모터] 기어헤드를 교환시, 설치 가능한 모터와 기어헤드 확인방법? 모터 홈페이지 Q. 기어헤드를 교환하려고 합니다. 조합 설치 가능한 모터와 기어헤드의 확인방법을 알려주세요. A. 모터와 기어헤드의 [설치치수] [치절 TYPE]이 일치하면 조합이 가능합니다. 모터와 기어헤드의 품명을 확인해주세요. 아래 품명은 K2시리즈의 모터, 기어헤드 품명입니다. 위와 같이 설치치수, 치절TYPE이 일치한다면 조합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됩니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면 인아오리엔탈모터 홈페이지로 가실 수 있습니다. 더보기 [모터 회전방향] 감속기 출력축의 회전방향과 모터의 회전방향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모터 홈페이지 Q. 기어헤드 출력축의 회전방향은 모터와 같은 방향인 경우와 반대 방향인 경우가 있는데 왜 그런건가요? A. 감속비에 따라 사용하는 치차의 단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종류가 다른 치차의 조합하여 감속비의 종류가 정해집니다. 따라서 감속비에 따라 치차의 단수가 다르므로 출력축의 회전방향이 달라집니다. 모터 홈페이지 : https://www.inaom.co.kr/count/tistorycount.do?para=1 더보기 [AC/BLDC] 기어헤드(감속기)의 역할 모터 홈페이지 AC, BLDC 모터에서 GEARHEAD의 역할 1. 회전속도를 낮춤. 2. 토크 증폭 3. OVERRUN 감소 4. 관성력 향상 1, 2, 3번은 많이 알고 있는 내용이므로 이번에는 [관성력 향상]을 살펴보겠습니다. 관성모멘트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 기어헤드에 연결되어 있는 부하관성 모멘트가 클 경우, 빈번한 단속(斷續)운전 기동시(또는 電磁Brake 및 브레이크 팩에 의한 정지시)에 순간적으로 큰 토크가 발생합니다. 이 충격부하가 너무 크면 기어헤드 및 모터 파손으로 이어질 경우가 있습니다. 모터 홈페이지 : https://www.inaom.co.kr/count/tistorycount.do?para=1 더보기 [AC인덕션,리버시블/BLDC] 오버런-정지까지의 회전량 모터 홈페이지 AC, BLDC모터의 오버런 오버런 (OVERRUN) ; 전원을 OFF 하고 나서 모터가 완전히 정지하기까지의 회전량 인아오리엔탈모터의 오버런을 알아봅시다~ 인덕션모터 : 30~40회전 리버시블모터 : 5~6회전 전자브레이크모터 : 2~3회전 브레이크 팩에 의한 순간정지 : 1~1.5회전 클러치 브레이크 : 약 1회전 DSC시리즈 : 1~1.5회전 MSSW시리즈, MSC-1 : 0.5~1회전 BMU시리즈 : 0.3회전 BLE시리즈, BX 시리즈 : 2~3회전 (BLE, BMU시리즈는 1500rpm에서 운전했을 때의 데이터 / BX시리즈는 3000rpm에서 운전했을 때의 데이터) 모터 홈페이지 : https://www.inaom.co.kr/count/tistorycount.do?para=1 더보기 [단상/삼상 AC/기어헤드] 직교축 감속기를 사용한 장점 모터 홈페이지 직교축 기어헤드를 사용한 장점 1. 중공 기어헤드를 구동축으로 직접 연결해 비용저감 - 체결부품의 감소로 부품 비용 절감 - 기구간소화로 조립공수 감소 - 벨트 텐션 조정 등 유지관리 절감 - 공간 절약 중공축 Geared Type 은 부하축의 양립 Conveyor 구동 Roller 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Conveyor 측면에 Motor 를 설치할 때에 비해 더욱 장비의 소형화가 가능합니다. 2. 부하축에 대해 모터를 직각 배치하여 공간절약 Gear 의 출력축이 설치면 상하방향의 중심에 있으므로 설치방향을 좌우로 바꿀 수 있습니다. 장비의 설치가 쉬워집니다. 모터홈페이지 : https://www.inaom.co.kr/count/tistorycount.do?para=1 더보기 AC소형모터의 특징-간단하게 운전할 수 있는 모터 모터 홈페이지 AC소형모터 특징 AC 소형 표준모터는 교류전원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운전할 수 있으므로 자동기기의 동력원으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여러 운전기능을 담아낸 AC소형표준모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BRAKE PACK이나 속도제어용의 회로제품(속도가변모터는 컨트롤러, 삼상모터는 인버터)과 조합하거나 기어헤드(감속기)나 리니어헤드 등의 기구제품을 조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폭넓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운전할 수 있는 모터 AC소형표준모터는 삼상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삼상모터와 단상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단상모터가 있습니다. 삼상모터는 콘덴서가 불필요하고 삼성전원 그대로 접속하면 운전할 수 있습니다. 단상모터는 부속의 콘덴서를 끼워서 단상전원에서 접속하면 운.. 더보기 [BLDC모터] BLDC MOTOR가 속도변동율이 좋은 이유 모터 홈페이지 BLDC MOTOR가 속도변동율이 좋은 이유 BLDC AC SPEED CONTROL INVERTER ±0.05%~±0.2% -5%~±1% ±3%~±5% -> Motor의 회전속도를 피드백 받아 설정속도와 비교하면서 Motor에 흐르는 전류를 조정, 속도의 안정을 도모하므로 부하 상태가 변화할 경우에도 저속에서 고속까지 안정된 속도로 구동이 가능 BLDC 모터의 카탈로그를 신청하고 싶다면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모터 홈페이지 : https://www.inaom.co.kr/count/tistorycount.do?para=1 더보기 [AC/BLDC모터] 회생저항이란?? 모터 홈페이지 회생저항이란?? 상하구동 (감아내림 운전)이나 대관성에서의 급격한 기동·정지시에 모터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발전기로 작용합니다. 이 때 발생하는 회생전력이 드라이버의 회생전력 흡수 능력을 넘어서면 파손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회생저항·회생 UNIT을 드라이버에 접속하여 회생전력을 열에너지로 방출합니다. OM제품 기준으로 회생저항은 어떤 제품에 사용이 가능할지 알아봅시다 ㅎㅎ 아래 표를 클릭하면 인아오리엔탈모터 홈페이지로 가실 수 있습니다. 모터 홈페이지 : https://www.inaom.co.kr/count/tistorycount.do?para=1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