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기술자료 썸네일형 리스트형 PAM/PWM 방식을 살펴보자! PAM/PWM 방식에 대해 살펴보자!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정전압원이 그대로 유도전동기의 단자 전압으로 되기 때문에 정전압원의 전압 V는 사이리스터 등을 이용한 위상 제어나 초퍼 회로로 정전압원의 전압을 가변시키고 인버터부에서는 주파수만 가변시킴 PWM(Pulse Width Modulation) 정전압원의 전압 V는 일정하고 인버터 스위치를 ON/OFF 시켜 반사이클 중의 PULSE의 폭과 수를 제어하여 가변전압 가변 주파수를 만든다. 반 사이클 중의 PULSE의 폭과 수는 교류전압 파형이 근사적으로 정현파가 되도록 제어. 고속 응답이 가능. 전압 파형도 정현파에 가까워 토크 리플이 경감되고 컨버터 출력 전압이 일정하기 때문에 전원 역률이 85%이상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더보기 협동로봇에 대해 알아보자! 최근 협동용 로봇(Collaborative Robot)에 대해 많이들 들어보셨을 텐데요. 줄여서 코봇(Cobot)이라고 부르죠. 기존의 산업용 로봇은 안전 상의 문제로 안전용 장비나 펜스가 있는 현장에서만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협동용 로봇은 안전 장비나 펜스가 없는 산업 현장에서도 작업자와 함께 작업이 가능한데요. 이는 협동용 로봇에 힘을 제한하는 내부 안전장치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이죠. 협동로봇의 특징 협동로봇 시장이미 유럽 제조업계에서 협동로봇 시장은 매우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세계적 트렌드에 발맞춰 국내 역시 협동로봇의 시장이 커져가고 있는 추세인데요. 최근에는 국내 제조업에도 협동로봇의 열풍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세계적인 로봇 트랜드를 재빠르게 읽은 국내 대기업도 협동로봇 시장에 .. 더보기 주요 국가별 전원 전압 요즘 국내 여행은 물론! 해외 여행을 많이 떠나고 있는데요. 해외 여행 시 필수 체크사항 중 하나가 바로, 해외에서 사용하는 전압일 것입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동그란 모양의 돼지코! 220V를 사용하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나라도 많이 있죠. 아무 준비 없이 여행을 떠났다간 큰 불편함을 겪을 수도 있어요. 해외 여행을 준비 중이신 분들이라면, 해당 국가의 전원 전압 사항을 반드시 확인하고 떠나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주요 국가의 전원/전압 사양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 주의 : 국가 및 도시에 따라 상기 이외의 전압, 주파수가 사용될 경우가 있습니다. 더보기 콘덴서 체크법 및 주의사항 콘덴서 체크법 및 주의사항 콘덴서(Condenser)는 전기, 전자 분야에 널리 쓰이고 있는데요. 오늘은 콘덴서 체크법과 콘덴서 사용 시 주의점에 대해 살펴볼게요. 콘덴서를 체크하는 방법 콘덴서 양단 전압 측정을 통해 확인한다 -> 양단 간 전압이 입력 전압의 1.5~2배가 나온다 -> 과부하로 판단 콘덴서 양단 전압 측정을 통해 확인한다-> 양단 간 전압이 입력 전압의 1.5~2배 값이 아니다. -> 배선에 단전이나 접촉 불량이 없는 지 확인 콘덴서를 사용시 주의점 1. 정격보다 용량이 큰 콘덴서 사용 시 토크가 커지나 발열의 원인이 되며 심한 경우 코일의 소손이 발생할 수 있다. Thermal Protector가 작동하여 MOTOR의 동작이 멈출 수 있다. 2. 정격보다 용량이 작은 콘덴서 사용 시 .. 더보기 이더캣에 대해 알아보자 스마트팩토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제조 현장의 다양한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글로벌 산업용 이더넷(Ethernet) 시장에서는 Ethernet/IP, PROFINET, CC-Link IE 등이 많이 쓰이고 있지만,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는 빠른 속도가 장점인 ‘이더캣(EtherCAT)’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더캣(EtherCAT)은 유연한 토폴로지를 가진 고성능, 저비용의, 사용하기 쉬운 산업용 이더넷 기술입니다. 왜 이더캣을 사용하는가? 라인 토폴로지는 케이블 이중화를 위해 링 토폴로지로 확장됩니다. 이중화를 위해 마스터 디바이스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은 또 하나의 이더넷 포트이고,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이미 케이블 이중화를 지원합니다. 이것은 장비가 동.. 더보기 전기 용어에 대해 알아보자 전기가 없는 일상생활을 상상해 보신 적이 있나요? 아마 1시간도 버티기 힘들 지 않을 까..... 싶은데요. 집 안의 가전제품, 공장 속 기계, 길거리의 수많은 가로등 등 이렇듯 전기는 우리 생활 곳곳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전기! 오늘은 전기 용어에 대해 소개해 드리고자 해요. 관련 업계 종사자 분들이 알아 두시면 좋을! 전기 용어 ◆ 가변 인덕터 (Adjustable Inductor) 자기 인덕턴스 또는 상호 인덕턴스를 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인덕턴스 ◆ 가변 저항기 (Adjustable Resistor, Variable Resistor) 흔히 볼륨이라 불리우며, 한개 또는 복수의 이동 가능한 접촉자를 이동하여 고정시켜서 그 저항값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된 저항기 ◆.. 더보기 상태 변화의 가시화 상태 변화의 “가시화” 온도 변화의 “가시화" 사례1. 금속은 온도 변화에 의해서 팽창·수축합니다. 볼 나사는 철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따뜻하게 데우면 팽창합니다. 고정밀도 위치 결정이 요구되는 경우, 모터의 온도변화, 운전 경과시간, 볼 나사의 위치 변위를 보이는 것으로, 고정밀도의 위치결정을 유지·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사례2. 액체는 온도 변화에 따라 기체·고체로 상태가 변화합니다. 오일 및 그리스 등의 윤활제는 온도가 높으면 부드럽게 되거나 증발하지만, 온도가 낮으면 딱딱해져서 장치의 움직임을 저하시킵니다 . 계절의 온도변화를 가시화함으로써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양호한 상태로 장치를 시동할 수 있습니다. 부하 변화의 "가시화" 기계의 움직임은, 윤활제가 끊어지거나 경년열화가 진행되는 것에 의해서 나.. 더보기 [모터의 용량을 직접!] 계산해보는 방법-볼스크류/벨트/테이블 안녕하세요~ 오늘은 근로자의 날입니다 ㅎㅎㅎ 쉬는 날에도 열일하는 모터를 사용하기 위해 오늘은 모터의 용량을 직접 계산해볼 수 있는 곳을 소개합니다. 아래 배너를 클릭해보세요 ㅎㅎ 클릭하시면 아래 화면이 뜹니다. 자, 순서대로 살펴볼까요? 1. 볼스크류 타입 AC/BLDC MOTOR를 클릭하면 회전속도, 부하토크(안전율2배), 전관성모멘트 값이 계산됩니다. STEPPING MOTOR를 클릭하면 펄스수, 회전속도, 가감속 RATE, 필요토크(안전율 2배), 전관성모멘트가 계산되고 추가로 모터 로터 관성을 입력해 넣으면 관성비(INERTIA비), 가감속시 필요 토크까지 계산이 된답니다. 2. 벨트 계산 결과에서 보여지는 값 항목은 공통입니다. 3. 인덱스 계산 결과에서 보여지는 값 항목은 공통입니다. 직접 .. 더보기 난연등급 모터 홈페이지 기기 부품용 플라스틱 재료의 타기 어려운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UL규격 (UL94, STANDARD FOR TESTS FOR FLAMMABILITY OF PLASTIC MATERIALS FOR PARTS IN DEVICES AND APPLIANCES)에 규정된 것이 일반적입니다. UL규격에서는 연소 속도, 불꽃을 내며 연소하는 시간, 적하물에 의한 발화 등의 항목에 대해 평가한 것입니다. 다음의 4단계로 분류됩니다. 모터 홈페이지 : https://www.inaom.co.kr/count/tistorycount.do?para=1 더보기 AWG(American Wiring Gauge) 란? 모터 홈페이지 BS (Brown & Sharp Wire gauge)라고도 합니다. 단선 도체의 직경 5 [mil]을 36AWG, 직경 460 [mil]를 4/0AWG로 하여 이 사이의 면적에 대해서 등비수열이 되도록 할당한 것입니다. ※ 1[mil] = 1/1000 [inch] 이 값에서 LEAD선 단면적을 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AWG No. LEAD선 단면적 (mm^2) 26 0.129 24 0.205 22 0.326 20 0.518 모터 홈페이지 : https://www.inaom.co.kr/count/tistorycount.do?para=1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